2024. 2. 4. 14:35ㆍUXUI 스터디/디자인아티클
원티드 PO, 커리어 도약을 위한 허들을 넘다 | 원티드
원티드랩의 PO는 어떤 일을 하고, 어떻게 일 할까. PO가 되고 싶은 사람, PO로 일 잘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읽어야 할 아티클!
www.wanted.co.kr
*본 아티클은 원티드 디자인 컨퍼런스에서 원티드 이다혜 PO가 강연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.ⓒ원티드
이 글은 학습을 위한 아티클의 요약 및 리뷰입니다. 링크를 통해 원문을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UX/UI 디자이너와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차이점
UX/UI 디자이너는 기획자의 와이어 프레임을 보며 화면 구성(버튼, 타이틀, 이미지 등)을 고민하고, 디자인툴을 활용해 그래픽을 입히는 역할을 한다. 이때 UX/UI 디자이너의 고민은 ‘화면 구성’에 집중된다.
프로덕트 디자이너는 PM이 제시한 제품의 방향성에 따라 이를 분석하고 디자인 개선안*을 담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. 데이터를 ‘분석’하고 개선안을 ‘제안’한다는 점에서 UX/UI 디자이너와는 다른 행보를 보인다.
UX/UI 디자이너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거쳐 PO가 된 디자이너가 말하는 세 직무의 공통점
기획자가 만든 와이어 프레임 안에서의 고민과 제품과 조직, 그리고 비즈니스 영역까지 아우르는 고민은 분명 다른 결을 지닌다. 하지만 세 직무 사이의 공통점은 존재한다. 바로 ‘우리 제품에 어떤 문제가 있고,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’ 고민해야 한다는 사실이다.
Tips!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세 가지 방법
1.데이터를 늘 가까이 한다.
• 정량적(Quantitative Data) 데이터 : 전환율, 리텐션, 이탈률과 같이 숫자로 표현하는 데이터
• 정성적(Qualitative Data) 데이터 : FGI, UT, IN-Depth 인터뷰 등 상황묘사 또는 단어로 기술되는 데이터
데이터는 답을 말해준다 수치든 고객의 행동이든 뭐든 좋다.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려면 상상만으로는 부족하다. 실무자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회사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. 따라서 사용자를 직접 만날 수 없다면, 사용자 데이터를 가까이 하면서 사용자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찾아보자. 그러면 점점 더 발전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다. |
* 데이터 리터러시가 필요하다
데이터data와 리터러시 literacy의 합성어로 흔히 '데이터 문해력(文解力)' 이라고 번역된다. 데이터 리터러시는 데이터를 문 맥에 맞게 읽고 사용하고 소통하는 능력은 물론이 고 데이터에 담겨 있는 의미를 파악하고 목적에 맞 게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
2. 가설을 세운다
문제의 원인을 찾고 솔루션을 기획하는 단계
3. 가설 검증을 위한 제품을 개발한다
가설을 확인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, 실제로 해결 가능한지 확인하는 단계
제품을 개발할 때는 *MVP(Minimum Viable Product)가 중요하다.
(*MVP란 최소 기능만으로 빠르게 개발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는 개발 방식 중 하나)
이는 빠른 실행을 통해 사용자 반응을 보면서 추가하거나 보완해야 할 기능을 하나둘씩 업데이트해나가는 방식이다. 원티드에서는 MVP 방식을 지향하며 문제 해결의 효율성을 높여나가고 있다.
시간과 리소스는 언제나 부족하다 어느 회사든 부족한 시간과 리소스에 허덕인다. 따라서 제품 하나를 만들더라도 최대한 유저에게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끈질기게 고민하는 태도가 필요하다. 그리고 문제를 꿰뚫는 주요한 기능 위주로 빠르게 출시해보자. 주어진 환경 내에서 시간과 리소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. |
시간 리소스! 많다고 잘 해결되나?! 그것도 아닐걸?
상황에 맞게 어떤 방법을 찾느냐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! 시작과 동시에 끝을 향해 달린다. 끝은 정해져있고 기다려주지 않는다!
'UXUI 스터디 > 디자인아티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아티클리뷰]디자이너의 휴리스틱 평가방법1 (2) | 2024.02.07 |
---|---|
[아티클 리뷰]효과적인 사용자 인터뷰 질문 6가지 (1) | 2024.02.05 |
[아티클 리뷰]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사례04 (1) | 2024.02.04 |
[아티클 리뷰]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사례03 (0) | 2024.01.28 |
[아티클 리뷰]문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사례02 (0) | 2024.01.28 |